Article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

김미옥1, 김경숙1,*
Miok KIM1, Kyung Sook KIM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1Department of Nursing, Namseoul University
*교신저자: 김경숙.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Tel: 041-580-2712. Fax: 041-580-2931. e-mail: kgs4321@hanmail.net

ⓒ Copyright 2015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Nov 02, 2015; Revised: Dec 10, 2015; Accepted: Dec 22, 2015

Published Online: Dec 31, 2015

요약

본 연구는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 정도를 측정하고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천안시 일 대학의보건의료계열 3, 4학년 268명이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생명윤리의식 정도는 2.01±.20점이었으며, 도덕적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은 각각 2.17±.31점, 2.04±.45점으로 중간 정도를 나타내었다. 생명의료윤리의식은 도덕적 자아개념과(r=.157, p=.011), 자아존중감은 도덕적 자아개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596, p<.001),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하부영역 중 생식윤리(인공수정, 인공임신중절) (r=.124, p=.043), 생존권 윤리(태아 및 미숙아 생존권)(r=.147, p=.016)가 도덕적 자아개념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교육은 대학생 시기라는 특성을 감안하여 인공수정, 임신중절수술, 태아 및 미숙아 생존권과 같은 생식 및 생존권 윤리 내용을 포함하여 대학생의 관심과 갈등, 고민과 연계될 수 있어야 하며 대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생명의료윤리교육을 위한컨텐츠 개발과 효과성 연구가 향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 of biomedical ethics awareness, moral self-concepts, and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care. This study employed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268 third- or fourth-yea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ealthcare in South Korea. The statistical analyses includ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 t-test and ANOVA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The average score for biomedical ethics awareness was 2.01±0.20 (using a 4-point Likert scale); the scores for self-esteem and moral self-concepts were 2.04±0.45, and 2.17±0.31 respectively. Biomedical ethics aware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al self-concepts (r=.157, p=.011); and selfestee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al self-concepts (r=.596, p<.001). Reproductive ethics (r=.124, p=.043) and the right to life (r=.147, p=.016), sub-domains of biomedical ethics awareness, also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moral self-concep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iomedical ethics education should focus primarily on reproductive ethics, the right to life, and the ethics of death.

Keywords: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Keywords: biomedical ethics awareness; self-esteem; moral self-concepts


[2025년 9월 특집논문] 국내 의학·치의학·간호학 계열 학부 의료윤리교육 현황과 고찰


2025년 9월 30일에 발간하는 28권 3호에서는 <의료윤리 교육>을 주제로 특집호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특집논문"국내 의학·치의학·간호학 계열 학부 의료윤리교육 현황과 고찰"에 대한 논평을 모집하고자 합니다.

 - 제출 기간: 2025년 8월 10일까지

 -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공지사항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공지사항 바로가기


I don't want to open this window for a 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