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뇌사자 및 잠재적 뇌사자에서의 체외막산소화장치 이용문제와 장기구득에서의 윤리적태도

김도경 1 , * https://orcid.org/0000-0001-8639-1951
Do-Kyong KIM 1 , * https://orcid.org/0000-0001-8639-1951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인문학교실 조교수
1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al Humanities, Dong-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교신저자: 김도경.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인문학교실. Tel: 051-240-2743. e-mail: oliviak1211@gmail.com

ⓒ Copyright 2019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May 25, 2019; Revised: May 27, 2019; Accepted: Jun 25, 2019

Published Online: Jun 30, 2019

요약

‘장기 보존을 위한 체외막산소화장치(organ preserv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OPECMO)’ 가 혈역학적으로 불안정성을 보이는 뇌사자, 잠재적 뇌사자에서 활력 징후를 안정시켜 원하는 장기를 구득하기 위한 뇌사자 관리의 한 방안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뇌사자나 잠재적 뇌사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기증자와 가족에게 심리적, 물리적 해를 야기할 수 있어 윤리적 문제가 야기된다. 연명의료를 거절한 기증자는 자신이 원하는 삶의 마지막 모습을 누리지 못할 수 있으며, 가족은 뇌사 판정에도 불구하고 ECMO로 인해 환자의 죽음을 인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잠재적 뇌사자에서 만약 의료진이 뇌사 가능성을 설명하지 않은 채 ECMO를 시행한다면, 이는 환자와 가족, 제3지불자를기만하는 행위가 된다. 또한 한정된 의료자원 이용의 측면에서 OP-ECMO 사용은 신중히 접근하여야한다. 장기구득과 이식 절차에 참여함에 있어 의료진은 장기기증의 결과가 장기적출이 아니라 생명나눔에 있음을 분명히 해야 한다. 기증과 장기구득의 과정은 기증자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의료진은 장기기증과 이식에 관련하여 합의된 원칙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ABSTRACT

Organ preserv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OP-ECMO) is used as a method of donor management in donation after brain determination of death (DBDD) or potential brain-death to acquire organs in a way that stabilize vital sign in hemodynamically unstable donors. Because it can caus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arm to donors and their family members OP-ECMO for DBDD or potential brain death raises ethical issues. Donors who refuse life-sustaining treatment may not receive the end of life care they want, and family members may have difficulty in accepting the patient’s death because of the use of ECMO even after a brain-death declaration. In cases of a potential brain-death, a medical professional who initiates ECMO without informed consent betrays the patient, the family, and any third-party payers. In light of scarce medical resources, the use of OP-ECMO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To address the potential ethical issues related to ECMO use in organ donors, medical professionals should indicate that the purpose of organ donation is not merely to harvest organs but rather give to the gift of life and should approach donor-centered organ donation and the harvesting process with respect for donor.

Keywords: 뇌사자 기증; 잠재적 뇌사자; 체외막산소화장치; 장기기증; 생명나눔
Keywords: donation after brain determination of death; potential brain-death;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organ donation; gift for life